주변을 지나가다보니 '임대'가 붙여있는 가게들이 꽤 많더라고요. 우리 동네만 해도 3곳이 최근에 폐업을 했답니다. 그 중에 한곳은 심지어 치킨집이었어요. 자주 시켜먹는 곳이었는데ㅠ 정말 아쉬웠답니다.
결국 피해는 소비자들에게도 돌아오는 건데 말이죠. 최근 소상공인들의 폐업이 급증하고 있다는 게 와닿았습니다.
요즘은 물가 상승, 경기 침체, 고금리 지속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리면서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상공인 폐업 증가의 주요 원인과 경제적 영향, 그리고 해결 방안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최근 폐업한 자영업자 수 증가
개업 대비 폐업 비율 증가: 2022년 개업 대비 폐업 비율은 0.59였으나, 2024년에는 1.01로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새로 개업한 점포보다 폐업한 점포가 더 많아졌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소매업, 음식업, 서비스업 등의 업종이 두드러졌다고 합니다.
자영업자 폐업률 상승: 2024년 자영업자 폐업률이 약 80%에 육박하며, 이는 전년 대비 증가한 수치입니다.
2. 폐업 증가의 주요 원인
폐업 증가의 주요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볼수 있습니다.
1) 물가 상승과 운영 비용 증가
최근 몇 년간 지속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으로 인해 원재료비, 인건비, 임대료, 공과금 등 고정 비용이 증가하면서 소상공인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 되었죠. 예를 들어 커피숍의 원두 가격 상승 → 커피 가격 인상 부담, 음식점의 식재료비 급등 → 가격 인상 시 소비 감소 우려, 전기요금, 가스비 인상 → 운영 비용 부담 증가 등 입니다.
한국소비자원의 발표에 따르면, 2023년 외식 물가는 전년 대비 9.1% 상승했고, 커피, 빵, 라면 등의 원재료 비용은 10~15% 증가 했다고 합니다. 이에 소비자들은 부담을 느껴 외식 횟수를 줄이고 있으며, 결국 자영업 매출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거죠.
2) 고금리로 인한 대출 부담 증가
코로나 이후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해 소상공인의 대출 이자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2021년 소상공인 대출 금리는 연 2~3%대였는데, 2024년 현재 시중은행 소상공인 평균 대출 금리는 연 6~7% 이상이라고 합니다. (정부 정책자금 대출금리는 약 3~4%대) 대출을 받아 창업했거나 운영자금을 빌린 소상공인들은 매월 납부해야 할 이자가 증가하면서 운영이 어려워졌습니다
3) 소비 심리 위축
고물가 + 고금리 + 경기 침체 → 소비 위축 → 소상공인 매출 감소
생활비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자들은 지출을 줄이고 있습니다. 특히 외식, 쇼핑, 여가활동 등 비필수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 생기고, 소상공인들은 고객 감소와 원가 상승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거죠.
3. 폐업 증가의 경제적 영향
1) 실업률 증가 → 자영업자들이 폐업 후 재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실업자가 증가
2) 소상공인 대출 연체율 증가 → 은행 부실 위험 확대
3) 상권 위축 → 빈 점포 증가, 경기 침체 심화
4. 소상공인이 취할 수 있는 대책
1) 운영 효율성 강화
일단 운영하는 비용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게 첫번째라고 생각됩니다.
임대료 협상, 에너지 절약, 인력 최소화해서 고정비를 절감하는 거죠. 요즘 시기에 직원대신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곳이 많은 이유일겁니다. 공동구매, 대량 구매 등을 활용해서 비용을 절감합니다.(사실 이거는 대부분 하고 있을 것 같아서 쓰기 조심스럽네요)
2) 온라인 판매 채널 확대
최근 온라인 쇼핑은 당연시 되는 만큼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마켓플레이스, 배달 앱 등 활용하는 방안이 있습니다. 홍보를 위해 SNS 마케팅 강화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활용)하거나, 정부 지원 프로그램 적극 활용하는 거죠.
3) 소상공인 지원 정책 및 대출 프로그램 정보 확인
결론: 소상공인 위기 극복을 위한 준비 필요
현재 폐업이 증가하는 원인은 물가 상승, 경기 침체, 고금리, 소비 심리 위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사회 구조와 현상으로 생긴 문제라서, 개별적으로 해결이 될꺼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정부지원정책이 효용성이 좋은 정책이 나와야 할텐데, 지금은 내수 경기도 안 좋고, 정치는 더 어지러워서 어떨지 모르겠네요.
다만 소상공인 스스로도 비용 절감, 온라인 판매 확대, 경영 전략 개선 등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 대비하며 개인적으로 취할수 있는 최선을 다 할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들 힘드시겠지만, 정말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