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ISA 계좌 절세 한도 완벽정리
ISA 계좌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운용하면서 절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대표적인 금융 상품입니다.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2025년 ISA 한도와 비과세 혜택 조건도 변경되었는데요. 이 포스팅에서는 누구나 알기 쉽게 2025년 ISA 절세 구조, 비과세 한도, 세제 혜택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 ISA 계좌란 무엇인가요?
ISA 계좌는 예금, 적금, 펀드, ETF, 주식 등을 하나로 묶어 운용할 수 있는 통합 금융계좌입니다. 투자 수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있어 절세 상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ISA 계좌 유형 2가지
- 신탁형 ISA: 은행에서 운용. 원금보장 성향이 강함.
- 일임형 ISA: 자산운용사가 운용. 투자 성향별로 구성.
💸 2025년 ISA 계좌 한도 및 비과세 혜택
구분 | 2025년 기준 |
---|---|
연간 납입 한도 | 2,000만 원 |
의무 가입 기간 | 3년 |
비과세 한도 | 연 200만 원 (서민형은 400만 원) |
초과 수익 과세 | 9.9% 분리과세 (금융소득종합과세 제외) |
👥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
- 만 19세 이상 누구나 가능
- 근로·사업소득 있는 만 15세 이상도 가능
- 국내 거주자 기준 (외국인 불가)
📈 ISA 계좌 절세 구조 핵심
ISA 계좌에서 발생한 수익은 3년 이상 유지하면 200만 원까지 비과세되며, 초과분도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포함되지 않고 9.9% 분리과세만 적용됩니다.
👉 이는 일반 주식계좌보다도 세금이 매우 유리한 구조입니다. 특히 고소득자나 ETF 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
🔥 서민형 ISA의 추가 혜택
다음 조건에 해당하면 서민형 ISA로 인정받아 비과세 한도가 연 400만 원으로 두 배까지 확대됩니다.
- 총급여 5천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3,500만 원 이하)
- 농어민, 기초수급자, 차상위 계층 등도 포함
❓ 자주 묻는 질문 (FAQ)
Q. 기존 주식계좌와 뭐가 다르죠?
A. 일반 계좌는 금융소득이 연 2천만 원을 넘으면 종합과세 대상입니다. ISA는 비과세 한도 + 분리과세 혜택이 있어 훨씬 유리합니다.
Q. ETF도 편입 가능한가요?
A. 네. ETF는 ISA 계좌 내에 편입 가능하며, 발생 수익도 비과세 대상입니다.
Q.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A. 3년 이전 중도해지 시 절세 혜택이 사라지고 일반 계좌로 전환됩니다. 단, 퇴사, 폐업, 질병 등은 예외입니다.
📌 요약 정리
- ISA 계좌는 연 2,000만 원 납입, 수익 200만 원까지 비과세
- 3년 이상 유지 시 분리과세 혜택으로 세금 부담 최소화
- 서민형은 비과세 한도 400만 원으로 2배
- ETF, 펀드, 예금까지 포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