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ETF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ISA 절세 구조
낭경자
2025. 7. 22. 12:21
반응형
ISA 계좌에 ETF 편입 시 세금은?
요즘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투자 상품 중 하나가 바로 ETF입니다. 주식처럼 매매 가능하고, 분산 투자 효과도 있는 데다 장기 투자에도 적합하죠.
그런데! ETF에서 발생하는 배당소득과 매매차익에도 세금이 붙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포스팅에서는 ISA 계좌에 ETF를 편입했을 때 과세 구조와 비과세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을 알려드릴게요.
✅ ETF 과세 구조 기본 이해
- 국내 ETF – 매매차익 비과세 / 배당소득 15.4% 과세
- 해외 ETF – 매매차익 포함 22% 배당소득세 적용
즉, 국내 ETF는 기본적으로 세금이 거의 없지만, 배당소득만큼은 원천징수로 빠져나갑니다.
연금저축·ISA·IRP 세금 줄이는 조합, 이렇게 시작하세요!
📌 ISA 계좌 활용 시 절세 구조
구분 | 일반 계좌 | ISA 계좌 |
---|---|---|
ETF 배당소득 | 15.4% 원천징수 | 연 200만 원까지 비과세 |
수익 초과 시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가능 | 9.9% 분리과세로 제한 |
매매차익 | 국내 ETF는 비과세 | 동일 |
💡 ISA + ETF 조합이 유리한 이유
- 연 200만 원 비과세 → 배당소득 절감 효과
- 금소세 회피 → 9.9% 분리과세로 제한
- 중개형 ISA 활용 시 ETF 직접 매매 가능
📈 실전 예시
국내 고배당 ETF에 투자 중인 B씨 사례:
- 1년간 배당 수익: 250만 원
- 일반 계좌: 250만 원 × 15.4% = 약 38.5만 원 세금
- ISA 계좌: 200만 원 비과세 + 50만 원 × 9.9% = 약 4.95만 원 세금
- → 33만 원 절세 효과!
📌 ISA에서 ETF 어떻게 투자하나요?
- 중개형 ISA를 개설해야 ETF 직접 매수 가능
-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 타이거, 키움 등 다양한 ETF 선택 가능
- ETF 수익은 계좌 내 자동 계산되어 세금 정산
🙋 자주 묻는 질문 (FAQ)
Q. 해외 ETF도 ISA에 편입할 수 있나요?
A. 원칙적으로 가능하지만, 환매차익 과세 및 복잡한 세금 처리가 있어 국내 ETF 위주로 추천드립니다.
Q. ISA에서 ETF 매도해도 세금이 나오나요?
A. 매매차익 자체는 국내 ETF라면 비과세입니다.
배당소득만 비과세 한도 내에서 처리
됩니다.
Q. 비과세 한도 초과 시 불리한가요?
A. 초과분은 일반처럼 과세되지 않고, 9.9% 분리과세로 처리되어 여전히 유리합니다.
✅ 요약 정리
- ETF 배당소득도 세금 대상 → ISA로 비과세 가능
- 중개형 ISA에서 ETF 직접 매수 가능
- 비과세 한도 초과 시에도 분리과세로 절세
반응형